Project Process/Challenge & Award

    [Project] SW멤버십(2021.07.~2021.12.): 개인 참가

    # Result: Participate(공모전 그룹) & ... # Analysis: 교내 33명의 우수한 학생과 교류 및 협업의 기회 제공. 체계적인 점수 시스템으로 장학금 지급. 방중프로그램 내 자기소개를 통해 다른 사람의 성과를 보고 자극 받을 수 있음. 알고리즘 그룹시, 그룹내 학우들과 주기적인 경쟁을 통해 점수 배분. 공모전 그룹시, 수상기관이 장관상정도를 목표로 하여 상당히 거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함. 오픈소스 그룹시, 각 contribution과 정도에 따라 기준을 두어 점수를 부여함. # Activity: 공통: 활동 진행 중 각 분야에 특화된 멘토(교수님들) 지원 예정 방중 프로그램 1주차 각자 자기 소개 및 특화 분야 세미나 준비(30분) SW멤버십_자기소개발표_최성준(https:/..

    [Project] SW중심대학공동헤커톤(21.02.04.-02.06.): Team ThanksForToday with 권나영(선문대), 금빛나(광운대), 박정섭(국민대), 최은지(동국대)

    Result: Participate Analysis: 대학별 4명의 학생만 참가할 수 있어 모든 참가자가 훌륭. 정말 다양한 분야 참가자. 초반 팀 빌딩때 기획을 잘 한 팀의 작품을 선택하여 들어가는 것이 중요.(기획을 해보면 얼마나 어려운지 알게 해주는 프로그램) 당해는 온라인으로 진행했기에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할 수 있었지만, 팀원을 컨트롤하기 힘듦. 아는 사람들과의 팀 프로젝트가 아닌 모르는 사람들과의 팀 프로젝트이기에 일에 집중할 수 있음. 학부생활 내에서 SW 팀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어도 디자이너와 협력하는 프로젝트는 경험하기 힘든데, 3일간 디자이너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줌. Naver Clova, Common Computer,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등 다양한 후원기업의 지원 덕에 프..

    [Project] SW festival(2020.11.30.~12.02.): 개인 참가

    Result: Participate & Junior award(+ Additional prize 500,000) & Popularity Award(+ Additional prize 300,000) Analysis: 동시에 여러작품을 출품할 수 있어서 상탈 수 있는 확률 높이기 가능! but 상은 1개만 가능 ㅠ 생각보다 신기한 작품 많고, 경희대임에도 대단한 사람들은 널린듯. 저학년이라고 하더라도 1,2학년 대상으로 주는 상도 있기에 좋은 성과를 기대해도 될 것. 작품 출품하는 것 자체만으로 교수님께 인상을 줄 수 있는 큰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작품 구경하는 것도 하나의 묘미! 시상식때 주는 밥도 뷔페식이라 은근 묘미중 하나!인데, 올해는 온라인 진행이네... 아쉬운 점은 준비한 것에 비해 10분..

    [Project] SummerIoTCampMentor(2020.08.10.~08.13.): 개인 참가

    Result: 12조(Mentor), 더많은코드저장해상(부상: usb), 아두이노 및 라즈베리파이 kit, 활동비(50~100만원) Analysis: 가르쳐주며 다시 기초를 다질 수 있는 기회. 3박4일 내내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특정시간에는 자기공부를 하며 공부할 수 있음. 좋은 사람들과 조교활동을 하며, 공부의 의지를 불태울 수 있음. 학부생으로 조교의 호칭을 들어볼 수 있음...ㅎ Activity:

    [Project] 쿠메이커스(KHU_MAKERS)(2019.09.~)

    Result : 4기(부원)(2019.09.~2020.02.) 5기(부회장)(2020.03.~2020.08.) 6기(회장)(2020.09.~2021.02.) Analysis: 인재상: 자신이 뭔가를 만드는 과정을 좋아하고, 쓸데 없어보이지만 그 속에서 아이디어를 뽑아낼 줄 아는 사람 making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꼭 해야할 활동(3D 프린터, 레이져커팅기, CNC, UV프린터, 플로터 등 무료사용 + 매달 10만원 가량의 활동비) making자체를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모여 프로젝트가 가능하며, 대부분의 구성원이 공과대학, 예술대학, 전자정보대학, 소융대학으로 구성되어 프로젝트를 하기에 적합.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그 기획속에 참가가 가능하여 다른사람들은 놓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을 참가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