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Point: 삼성 '스마트 태그'·애플 '에어태그'…전 세계 연결된 자사 기기로 위치 확인
+ 에어태그: 물건에 부착해, 분실 시 해당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액세서리.
삼성 '스마트 태그' VS 애플 '에어태그'
스마트 태그: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을 활용.
- 부착된 물건 가까이에 갈수록 BLE 신호가 세져, 신호가 세진 순간에 스마트 태그에서 소리를 울리게 할 수 있음.
스마트태그 플러스: 초광대역 기술(UWB)이 적용, 태그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제공.
- 물건이 있는 위치를 증강현실(AR)로 보며 실시간으로 찾을 수 있으며, 센티미터 단위까지 위치 정보 제공.
-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진 상황에서는 주변 다른 갤럭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도움을 받아 기기를 찾는 '오프라인 찾기' 기능을 통해 물건을 찾음.
에어태그: 블루투스와 UWB 기술을 모두 사용(블루투스 연결 가능 범위: 최대 약 243.84m).
- 블루투스 연결 범위 내에 잃어버린 물건이 있다면, 나의 찾기 앱을 통해 에어태그에서 소리를 재생시켜 찾기 가능.
- 애플이 자체 설계한 U1칩이 탑재돼 UWB 기술을 기반으로 정밀 탐색 기능이 가능.
+ 정밀 탐색 기능(아이폰11 및 아이폰12 사용자만 이용가능): 카메라, AR키트,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리, 햅틱 및 시각적 피드백을 활용해 에어태그가 있는 곳까지 자세히 안내.
- 분실한 에어태그를 다른 사람이 찾은 경우, 발견한 사람이 자신의 아이폰이나 기타 NCF 지원 기기로 에어태그를 접촉하면 웹사이트가 열리면서 분실한 사람이 설정해둔 연락처가 표시.
# 느낀점: 에어테그라는 것이 출시했다는 것은 애플 주주로서 인식하고 있었으나, '어느정도의 파급력을 가져오겠어'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던 것이 사실이다. 근데 이 기사를 읽으며 테그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정말 매력있는 제품인 것 같다. 이것이 진짜 범용적 smart IoT의 시작인 것 같다. 기계를 설계할때부터 SW를 넣어두는 것이 아닌 어디에든 적용가능하고 사용가능한 것. 왜 나는 이런 간단한 아이디어를 생각 못했을까? 이거 때 돈 벌 수 있었는데 ㅠ 정말 안타깝다!
# 참고: zdnet.co.kr/view/?no=20210423171827
4만원짜리 액세서리가 삼성·애플 생태계 가른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모바일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 스마트폰을 넘어 이와 연동되는 모바일 액세서리를 통해 자체 생태계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애플은 지난 21일 위치 추...
zdnet.co.kr
'IT Trends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ZDNet] '얼굴인식' 기술 강자 MS, 제품은 안 만드는 이유 (0) | 2021.05.01 |
---|---|
[ZDNet] '취임 100일' 바이든, 전기차에 힘 실었다 (0) | 2021.04.30 |
[ZDNet]암호화폐 시장은 '잘못된 길' 일까? (0) | 2021.04.24 |
[ZDNet] 국내 비트코인 15% 폭락…"보호대상 아냐" 은성수 발언 영향 (0) | 2021.04.23 |
[로봇신문] 생채모방로봇(나뭇잎) - Falling Leaves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