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bstract
Google I/O 2023: AI 붐의 시대 개막
- 새로운 AI 모델: PaLM 2
- 개발자 도구
- 생산성 도구(Google workspace)
- 검색과 Bard
Detail
새로운 AI 모델: PaLM 2
- “생성형 AI로 구글의 제품을 모두 재창조하고 있다”
- “제시된 코드의 버그를 수정하고, 변경 사항을 한국어 번역해 주석을 달아달라”
- 구글은 PaLM 모델을 특정 산업에 맞게 맞춤화하는 작업에 투자 중: 의료 데이터를 집중 학습한 Med-PaLM 2를 공개했으며, 이를 통해 의료인이 필요한 정보를 묻고 답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가령 엑스레이 사진을 Med-PaLM 2 기반 서비스에 전송한 후, “엑스레이에서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봐 달라”라고 입력하면 Med-PaLM 2가 답변을 제공한다.
- Gemini(구글 브레인 & 딥마인드 협업): Responsible AI. Gemini를 통해 워터마킹과 메타 데이터라는 두 가지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며, AI가 생성한 이미지나 데이터 특정 정보를 추가할 수 있게 된다.
개발자 도구
- Bard: 코드 생성 및 버그 수정 지원. 지원가능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20여 개로 자바, 코틀린, C 언어, 파이썬, R 등이 포함. 단, 구글 검색에서는 8개의 언어(C, C++, Go, 자바, 자바스크립트, 코틀린, 파이썬, 타입스크립트)와 3개의 툴(도커, 깃, 쉘), 알고리즘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만 받을 수 있음.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tudio Bot 공개. Studio Bot은 챗봇처럼 질문을 입력하면 관련 답변을 바로 제공하는 서비스. 설정 변경, 버그 수정, 코드 생성 같은 기능을 수행함. Studio Bot은 PaLM 2에서 코드 생성 전문 모델로 만든 Codey를 기반으로 개발됨.
- Play Store: AI 기술이 추가. 앱에 대한 핵심 고객과 테마, 어투를 입력하면,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할 앱 소개 문구를 자동 생성가능. 각 소개 문구는 10여 개의 언어로 자동 번역이 가능.
- Duet AI: 구글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Duet AI를 이용가능. Duet AI는 클라우드 운영 과정에서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물론, 비용 절감 방법이나 작성한 코드 환경에 맞는 아키텍처 구조도 추천. Duet AI는 고 언어, 자바,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SQL 언어를 지원.
- Firebase: 확장 프로그램 형태로 AI를 활용가능. 가령 'PaLM API가 포함된 챗봇'이나 'PaLM API를 이용한 텍스트 요약' 기능 등이 Firebase 개발 환경에서 지원.
생산성 도구 (Google workspace)
- 생산성 도구에도 AI 기능이 본격 도입. 생산성 도구에서 AI 서비스는 ‘Help Me OO’라는 이름으로 들어감.
- Gmail에서는 ‘Help me write’이라는 긴 분량의 이메일을 대신 써주는 기능이 추가. ‘비행기 티켓 환불 메일’이라고 입력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AI가 이메일을 대신 써주는 식이다. 작성한 초안의 분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좀 더 격식 있는 표현으로 바꾸는 것도 클릭 몇 번으로 조정할 수 있음
- 구글 독스에서는 ‘Help me write’는 ’세일즈 직원 채용 공고’ 같이 글의 주제를 입력하면 알아서 관련 콘텐츠를 생성함.
- 구글 시트에서는 ‘Help me organize’가 추가. 원하는 목표를 입력하면 스프레드시트에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물을 출력하는 기능. 가령 ‘연례 세일즈 콘퍼런스 주제를 시간별로 정리해 줘’라고 입력하면 알아서 표가 생성됨. 템플릿 문서에서 진화돼 데이터까지 AI가 알아서 입력하는 형식인 것.
- 구글 슬라이드에서는 ‘Help me visualize’가 추가됐으며, 이를 통해 생성하고 싶은 이미지를 묘사하면 관련 이미지가 생성됨.
- 구글 포토의 편집 기능도 개선됨. Magic Editor를 이용하면 배경에서 특정 물체나 사람을 분리하거나 편집할 수 있음.
- 또한 구글은 어도비와 파트너십을 맺고 Firefly를 Bard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밝힘. Firefly는 원하는 이미지를 텍스트로 묘사하면 AI가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비스로 저작권에 문제없는 이미지만 활용하는 것이 특징. Firefly는 어도비의 이미지 편집 도구 ‘익스프레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어서 Bard 내에서 이미지 디자인, 색상, 글꼴을 변경할 수 있음.
- 새로운 생산성 도구
- TailWind(AI 기반 노트 서비스): 지식이나 아이디어를 취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구글 드라이브에서 특정 자료를 TailWind로 업로드하고 학습시키면, 사용자는 자료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료의 중요한 개념을 요약해서 보거나 퀴즈를 생성하거나 용어집을 만들 수 있다. 구글은 TailWind가 많은 자료를 봐야 하는 대학생이나 방대한 기사를 읽고 분석해야 하는 작가 및 애널리스트, 소송 자료를 검토하는 변호사 등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TailWind는 미국에서만 신청한 사용자에 한해서 접근할 수 있다.
- MusicLM(Text to Audio): 텍스트로 원하는 음악을 입력하면 AI가 그에 맞게 음악을 작곡해 주는 기술이다. 앞으로 공식 사전 신청서를 제출하면 MusicLM의 접근 권한을 받아 테스트할 수 있다.
검색과 Bard
- 검색창에 질문을 입력하면 생성형 AI가 찾은 답변이 가장 상단에 보임. 추가로 ‘후속 질문하기’, ‘예상 비용은?’ 같은 연관 질문이 하단에 표시됨. 또한 검색 결과 옆에 프롬프트 창이 옆에 떠서 현 검색 결과와 관련된 추가 질문도 쉽게 할 수 있음. 이 기능은 아직 실험 단계로 미국에서 구글 앱이나 크롬 이용자에게만 개방됐다.
-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기능도 구글 검색에서 추가된다. 향후 몇 달 안에 추가될 이 기능은 ‘이미지 정보(About this image)’를 추가해 AI가 생성한 이미지인지 아닌지 표시해 준다.
- 생성형 AI 챗봇인 Bard를 공식 출시한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Bard는 원래 일부 국가에서 사전 신청한 사용자에게만 개방됐는데, 7월 13일부터 180개 국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열어 두었다. 또한 영어 외에 40여 개 언어를 새롭게 지원하고 있다.
참고
- [Google] Google I/O 2023: https://io.google/2023/intl/ko/
- [Samsung] 한눈에 보는 구글 I/O 2023: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google_io_2023.html
- [Google] Google I/O 2023: What’s new in TensorFlow and Keras?: https://blog.tensorflow.org/2023/05/google-io-2023-whats-new-in-tensorflow-and-keras.html
반응형
'인생을 살면서 > 나의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 정리] 센스있게 일하는 방법 (0) | 2023.08.29 |
---|---|
[생각 정리] 국민대 자율주행 경진대회 회고... (0) | 2023.08.27 |
[생각 정리] 공인 영어 시험 8종류 비교 정리 (TOFEL, TOEIC, IELTS, Cambridge, OPIc, GRE, TEPS, GTELP) (0) | 2023.05.30 |
[생각 정리] 중소기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a.k.a. 중기청 전세대출, 청년혜택) (0) | 2023.05.20 |
[생각 정리] 굳이 뽑아보는 아이패드의 장점: 사야할 이유를 찾아볼까..?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