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KeyPoint: 한 때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의 정신적 지주였던 리처드 스톨만, 때문에 자유소프트웨어재단이 와해될 위기에 처했다.
1989년 GNU GPL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원조 역할을 한 카피레프트는 '자유롭게 가져다 쓰되, 도움을 받아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똑 같이 공유한다'는 기본 철학을 담고 있다.
저작권(copyright)이 저작자 보호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과 달리 '카피레프트'는 이용자 쪽에 중심축을 놓고 있는 점이 다르다. ‘카피라이트’를 주장했던 빌 게이츠가 윈도로 큰 돈을 버는 동안, 스톨만은 카피레프트 운동의 중심이 됐다.
엡스타인 사태 때 불명예 퇴진…섣부른 복귀 시도하다 거센 역풍
스톨만은 미성년자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혐의를 받은 MIT 동료 교수를 옹호.
그러면서 "가장 설득력있는 시나리오는 피해자가 자신을 그(민스키)에게 자진해서 내준 것"이므로 '민스키와 강제로 성관계를 했다'는 주프레의 증언은 부당하다고 주장.
오픈소스 및 자유소프트웨어 운동가들 사이에서 ‘스톨만 퇴출 운동’이 벌어짐. 결국 스톨만은 그 해 9월 자신이 설립한 자유소프트웨어연맹 회장직에서 사임. MIT 인공지능연구소 객원과학자 등에서도 물러남.
불명예스럽게 쫓겨났던 리처드 스톨만은 지난 주 자유소프트웨어재단 이사로 복귀.
부적절한 처신 못지 않게 시대에 뒤진 SW 사상도 한계로 거론돼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에 대한 스톨만의 낡은 사상도 걸림돌
특히 프라이버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본 개념이 많이 변화
프로토콜은 “스톨만 사상의 근간이 됐던 GPL과 카피레프트는 현대 경제에서 소프트웨어가 하는 역할과 잘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어떤 소프트웨어를 수정했을 경우 반드시 같은 카피레프트로 공중에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 GPL의 기본 정신이다. 이게 현대 소프트웨어 작동 방식과는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
오픈소스 라이선스 정책 중 하나인 ‘아파치 2.0’에선 소프트웨어 변화를 공중에게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강요하지 않음.
스톨만이 도덕적 엄격함에 집착하다보니 현대의 오픈소스 운동 흐름을 제대로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
# 느낀점: 이 분야에 관심이 없다면 이 기사를 읽고 별 감흥을 못느낄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 소프트웨어 공학관련 수업을 들은 입장에서는 상당히 느끼는 바가 많다. 1980년대 중반 스톨만이 제기한 ‘자유소프트웨어’란 개념은 소스코드 공개를 통한 소프트웨어 발전이란 선순환을 만들어 냈기에 당시 개발자들에게 엄청난 감흥을 안겨줬다. 공개를 바탕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 입장에서 아직도 상당히 좋은 문화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외부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있을 줄은 상상도 못했다. 스톨만이 제기한 문화가 현대의 프라이버시에 맞지 않는다는 등 이러한 말이 나오고 있을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상당한 지식을 겸비했음에도 SW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이익보다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애써온 분이 한 행동이 이해가 되지 않기는 하지만, SW의 사상관련한 문제에 있어서는 아직 와닿지 않는다. 물론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세상이기는 하나 공유문화가 없었다면 지금의 발전에 이르렀을 수 있을까? 그리고 이 문화를 없앤다면?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상당부분이 얼마나 지체될까? 예상할 수는 없지만 짐작은 간다.
# 참고: zdnet.co.kr/view/?no=20210331160451
자유 SW운동의 일그러진 영웅 '리처드 스톨만'
한 때 그는 ‘자유의 기수’였다. 소프트웨어시장에서 ‘자유(free)’를 외쳤다. 1985년 3월 ‘닥터 돕스 저널’에 발표했던 ‘그뉴(GNU) 선언’은 자유소프트...
zdnet.co.kr
반응형
'IT Trends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ZDNet] 美 백악관, 삼성전자 등 불러 반도체 품귀 사태 논의 (0) | 2021.04.03 |
---|---|
[ZDNet] "일론 머스크의 위성 인터넷, 생각보다 괜찮았다" (0) | 2021.04.01 |
[로봇신문] 보스턴 다이나믹스, 물류창고 로봇 '스트레치' 공개 (0) | 2021.03.31 |
[ZDNet] 펜으로 그리는 4D 프린팅 기술 세계 첫 개발 (0) | 2021.03.26 |
[로봇신문] 생체모방로봇 (물고기) - 유영(물고기 측선) (0) | 202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