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ComputerScience(CS)

[Network] WebRTC: 웹 상 오디오, 비디오 실시간 송수신 프로토콜
💡 본 문서는 'WebRTC: 웹 상 오디오, 비디오 실시간 송수신 프로토콜'에 대해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웹 상에서 오디오, 비디오 등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WebRTC에 대해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WebRTC란? MDN의 WebRTC 문서에서는 WebRTC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사이트가 중간자 없이 브라우저 간에 오디오나 영상 미디어를 포착하고 마음대로 스트림 할 뿐 아니라, 임의의 데이터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드라이버나 플러그인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 간 P2P 연결을 통해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WebRTC의 ..

[Network] HTTP 버전 별 특징: HTTP v0.9 v1.0 v1.1 v2 v3
💡 본 문서는 'HTTP 버전 별 특징: HTTP v0.9 v1.0 v1.1 v2 v3'에 대해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HTTP는 여러 과정을 거쳐 현재의 웹의 표준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하단에서는 HTTP의 역사와 함께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며 HTTP에 적용된 기술에 대해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HTTP 란?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상당히 확장 가능하며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란 (보통 웹브라우저인) 수신자 측에 의해 요청이 초기화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Linux] chmod 파일 권한 및 특수 권한 설정
💡 본 문서는 'chmod 파일 권한 및 특수 권한 설정'에 대해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Linux OS에서는 파일 및 폴더에 접근 권한이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특정 파일에 접근할 때 'permissionError', 'Permission denied'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파일의 접근 권한 설정에 대해 알고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Linux에서 권한이란? 1.1 폴더 접근 권한 확인하기 'ls -al', 'll' 의 명령어에 경로를 붙이면 해당 경로에 위치한 파일들의 접근 권한(e.g. drwxr-xr-x)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l / total 2097252 drwxr-xr-x 21 root root 4096 8월 31 13:5..

[OS] 쉘(Shell) 기본 문법: bash shell
💡 본 문서는 '쉘(Shell) 기본 문법: bash shell'에 대해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쉴 스크립트 작성시 필요한 shell 기본 문법 및 쉴 설정 팁까지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쉘(Shell) 기본 문법: bash shell Shell은 인터렉티브하게 대화식으로 CMD에서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프로그래밍하여 *.sh 실행파일을 생성하여 논 인터렉티브하게 사용하기도 합니다. 1. 최상단에 #!/bin/bash 추가 - sh파일을 작성할때는 반드시 최상단에 #!/bin/bash 기록해줘야 해당 Shell을 통해 실행한다. 2. Shell 파일 실행 방법 ( ./ ) - sh / source / . 등을 이용해서 실행하면 권한이 없어도 수행이 가능하지만, ./ 로는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