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KeyPoint: 오픈소스 문화가 형성돼 있는 소프트웨어 업계와 달리, 데이터 경제는 개인정보 등의 제약으로 생태계가 폐쇄적으로 구축되고 있다는 진단
반면에, 인공지능(AI) 기술의 경우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가속화할 방안으로 개방형 혁신이 추진.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발간한 '오픈 알고리즘과 클로즈드 데이터 : AI 경제의 근본적인 딜레마' 보고서에서는 이같은 내용이 언급
데이터가 소스코드나 AI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정보재임에도, 독점 시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사유화되는 경향
"이미 넓은 고객 기반을 갖추고 있는 기업일수록 데이터 활용과 AI 기술 적용에 우위를 가짐을 뜻한다"
"페이스북을 비롯한 대형 인터넷 커뮤니티가 AI 기술의 선도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기업이 생존을 위한 자원으로 데이터를 취급하고 있어 당장 개방형 혁신이 이뤄지기에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한다고 지적.
이는 결국 학습 목적에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AI의 발전에도 걸림돌로 작용
# 느낀점 : 생각지도 못한 점에서 한 대 맞은 듯한 기사였다. 왜 그동안 데이터를 공유할 생각을 안했을까? 당연히 요즘시대에는 그 기업의 자산이라고 하면 '데이터'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데이터를 공유한다면 산업의 발전은 비대하게 커질 것이다. 하지만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 데이터를 공유한다? 이는 해당기업의 몰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말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근데 이를 개선할 방법이 있다면?
# 참고 : zdnet.co.kr/view/?no=20210208103318
데이터도 '오픈소스'처럼 활용될 수 있을까
오픈소스 문화가 형성돼 있는 소프트웨어 업계와 달리, 데이터 경제는 개인정보 등의 제약으로 생태계가 폐쇄적으로 구축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의 경...
zdnet.co.kr
반응형
'IT Trends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신문] 현대차그룹, 걸어다니는 무인 모빌리티 ‘타이거(TIGER)’ 공개 (0) | 2021.02.10 |
---|---|
[ZDNet] 샤오미, 화면 베젤∙포트∙버튼 없는 스마트폰 공개 (0) | 2021.02.09 |
[로봇신문] 'Kuka', 종양 치료용 가상칼 로봇 공개(정밀도 0.5mm) (0) | 2021.01.31 |
[전자신문] 신한금투, '게임스탑' 종목 거래 차단 (0) | 2021.01.30 |
[ZDNet] KAIST,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개발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