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ZDNet] KAIST,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개발

    # KeyPoint : 국내 연구진이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이식 후 생체 내에서 장기간에 걸쳐 배터리 교체 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빛으로 뇌의 신경회로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 광유전학: 빛을 이용해 목표로 하는 특정 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어 뇌 기능을 밝히고 각종 뇌 질환을 치료할 해결책으로 뇌과학 및 신경과학 분야에서 주목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배터리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해 광자극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게 1.4그램(g)의 뇌 완전 이식형 기기를 구현. 생체 이식 후 기기로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기를 매우 부드러운 생체적합성 소재로 감싸 생체조직과 같이 부드러운 형태가 되도록 개발..

    [로봇신문] DARPA SUBTERANEAN Challenge ( KAIST )

    # keypoint : 'DARPA SUBTERANEAN Challenge’ - 지하 인공 터널, 도심 지하에 건설된 사회 기간 시설, 자연 동굴 등 지하에서 자율성, 주변 인식, 네트워킹, 매핑, 모빌리티 등 종합적인 기술 경쟁을 펼치는 대회에서 카이스트가 1등. # 느낀점 : kaist는 대체 뭘까? 이 분야는 거의 섭력한것 같다. 물론 다양한 연구팀에서 많은 대회를 나간 것 중 성과를 낸 것만 봤겠지만,, 아는 것만 3~4개. 원하는 분야를 공부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활동이겠지만 지원자금을 받고 연구를 한다니 너무 부럽다. 대외활동, 학교행사 등으로 자금을 얻어서 공부해보고 싶더라도 한계가 있기 마련인데 무엇보다 환경이 갖춰져 있는 것 자체만으로도 반이상은 앞서가는 느낌이다... # 참고 : http..

    [로봇신문] KAIST ( Time Of Flight(TOF) sensor)

    # Keypoint 기존 기술의 단점 : 1. 기존 TOF 기술은 미터 이상의 긴 측정 거리를 갖지만 분해능(정밀도)이 낮음, 2. 간섭계 기술은 나노미터 수준의 분해능을 갖추고 있지만 측정 범위가 좁음. KAIST : 펄스 레이저 및 전광 샘플링 기법을 이용해 거리 측정에 활용할 초고속, 초정밀 TOF 센서 기술을 개발 수소 원자 2개의 크기보다 작은 180피코미터(55억분의 1미터) 정도의 위치 차이도 200분의 1초 만에 정확하게 측정 '전광 샘플링 기법' : 펄스 레이저에서 발생한 빛 펄스와 광다이오드로 생성한 전류 펄스 사이의 시간 차이를 측정. 빛 펄스와 전류 펄스 간의 시간 오차가 100 아토초(1경분의 1초) 정도로 매우 적어져 나노미터 이하의 거리 차이도 빠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 전류 ..

    [책리뷰] 휴보이즘 - 나는 대한민국 로봇 휴보다 ( 전승민 )

    # 읽게된 계기 : 물론 우연히 도전하는 분야가 겹쳐져 두 회사만 알게된걸수도 있지만, 한재권교수님의 책을 읽으면서 국내 휴머노이드의 양대산맥은 'ROBOTIS'와 'KAIST'라는 생각을 했다. ROBOTIS, RoMeLa연구소 쪽의 책 두권을 읽은 후 KAIST의 휴보에 대해서도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접하게 되었다. # 느낀점 : 단순한 기술소개서가 아닌 한 기자가 살펴본 'KAIST'의 휴머노이드 발전의 전과정과 해외 로봇 산업 선진국(일본, 미국)의 변천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되어있다. 또한 전승민기자가 공부하면서 알게된 노하우 등을 정리해서 공유하여 읽는재미가 있다. # 참고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059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