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wingProcess
드프 DrawingProcess
DrawingProcess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분류 전체보기 (969)
    • Profile & Branding (25)
      • Career (18)
    • IT Trends (254)
      • Conference, Faire (Experien.. (31)
      • News (187)
      • Youtube (19)
      • TED (8)
      • Web Page (2)
      • IT: Etc... (6)
    • Contents (98)
      • Book (67)
      • Lecture (31)
    • Project Process (94)
      • Ideation (0)
      • Study Report (34)
      • Challenge & Award (22)
      • 1Day1Process (5)
      • Making (5)
      • KRC-FTC (Team TC(5031, 5048.. (10)
      • GCP (GlobalCitizenProject) (15)
    • Study: ComputerScience(CS) (72)
      • CS: Basic (9)
      • CS: Database(SQL) (5)
      • CS: Network (14)
      • CS: OperatingSystem (3)
      • CS: Linux (39)
      • CS: Etc... (2)
    • Study: Software(SW) (95)
      • SW: Language (29)
      • SW: Algorithms (1)
      • SW: DataStructure & DesignP.. (1)
      • SW: Opensource (15)
      • SW: Error Bug Fix (43)
      • SW: Etc... (6)
    • Study: Artificial Intellige.. (149)
      • AI: Research (1)
      • AI: 2D Vision(Det, Seg, Tra.. (35)
      • AI: 3D Vision (70)
      • AI: MultiModal (3)
      • AI: SLAM (0)
      • AI: Light Weight(LW) (3)
      • AI: Data Pipeline (7)
      • AI: Machine Learning(ML) (1)
    • Study: Robotics(Robot) (33)
      • Robot: ROS(Robot Operating .. (9)
      • Robot: Positioning (8)
      • Robot: Planning & Control (7)
    • Study: DeveloperTools(DevTo.. (83)
      • DevTool: Git (12)
      • DevTool: CMake (13)
      • DevTool: NoSQL(Elastic, Mon.. (25)
      • DevTool: Container (17)
      • DevTool: IDE (11)
      • DevTool: CloudComputing (4)
    • 인생을 살면서 (65)
      • 나의 취미들 (7)
      • 나의 생각들 (42)
      • 여행을 떠나자~ (10)
      • 분기별 회고 (6)

개발자 명언

“ 매주 목요일마다 당신이 항상 하던대로 신발끈을 묶으면 신발이 폭발한다고 생각해보라.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이런 일이 항상 일어나는데도 아무도 불평할 생각을 안 한다. ”

- Jef Raskin

맥의 아버지 - 애플컴퓨터의 매킨토시 프로젝트를 주도

인기 글

최근 글

최근 댓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rawingProcess

드프 DrawingProcess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AI)

[Vision] Benefiting from AI and deep learning for video summarization

2021. 6. 1. 01:17
반응형

# Title: “Benefiting from AI and deep learning for video summarization”

# Summary: AI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Video summarization은 GANs과 같은 Unsupervised learning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 Contents: 매일 유튜브 영상을 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구글의 매점을 방문하기 전에 영상을 보고 방문하는 비율이 50%가량. 비디오는 정보 공유의 컨텐츠로 성장하고 있음. 우리는 이미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copy and text에서 snapshot and visual posts로 옮김. AI를 사용한다면 작성하는 목적에 따른 명확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target에게 더 잘 전달할 수 있음.

최근 딥러닝을 사용한 image처리는 증가하며 정확도가 급속도 향상. 비디오에도 비슷한 기술 사용가능하나 video는 audio, motion, time을 포함한 다차원으로 더욱 복잡. 주 장면을 바탕으로 요약 가능.

Supervised summarization의 경우, sport같은 pattern이 존재하는 경우 잘 작동하지만 labeled data하는 과정이 도전과제. Unsupervised의 경우(such a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s) and reinforcement learning), color, motion, texture와 같은 low-level feature를 활용한 histogram과 clusters를 활용하여 비슷한 프레임 검출. 이러한 것을 다룬다면 비디오 요약 서비스의 선주자가 될 수 있다.

Video의 경우 어떤 패턴이 존재하지 않고 서로가 완전히 다르다. 매우 잘 작동하는 GANs는 두가지 신경망으로 구성된다.
1. An encoder that tries to mimic the real data.
2. A decoder that is trying to learn if the generated data is fake or not
이는 원래 Dataset와 구별하기 힘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어진 비디오를 잘 나타내는 프레임의 또 다른 집합을 만들며 dataset을 설명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자체의 context and meaning을 보존한 고유한 요약이 생성된다. 이는 작은 버전의 광고를 만들거나 콘텐츠 출시의 예고편을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Video의 경우 reinforcement learning이 labeled data를 하지 않아 supervised learning보다 더욱 효과적이다. 신경망은 보상을 기반으로 프레임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이전의 요약된 것을 바탕으로 현재 프레임을 학습하거나 건너뛸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보상함수는 프레임의 다양성, 대표성, 카테고리분류와 같은 것을 결정할 수 있다. Video summarization의 경우 딥러닝의 새로운 시대를 막 시작. 많은 조언들은 오디오, 전달 매체, 요약의 취지를 기반으로 한 최상의 요약이 근처의 미래에 만들어지고 최적화 될 것이다.

# 참고: https://www.clickz.com/ai-deep-learning-video-summarizing/236598/

 

Benefiting from AI and deep learning for video summarization - ClickZ

Adobe Sensei's Director of Machine Learning, Divya Jain shares about AI's key role with video summarization and gauging interest in the content.

www.clickz.com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ion] SURF (Speed-Up Robust Feature)의 원리.txt  (0) 2021.06.08
[Vision] SIFT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의 원리.txt  (0) 2021.06.01
[논문리뷰] MSKVS: Adaptive mean shift-based keyframe extraction for video summarization and a new objective verification approach (JVCI 2018)  (0) 2021.05.25
[논문리뷰] A Survey on Video Summarization Techniques (IJCA 2015)  (0) 2021.05.25
[AI] Sequential, Functional, Model sub-classing using Keras and TensorFlow 2.0  (0) 2020.09.08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ision] SURF (Speed-Up Robust Feature)의 원리.txt
    • [Vision] SIFT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의 원리.txt
    • [논문리뷰] MSKVS: Adaptive mean shift-based keyframe extraction for video summarization and a new objective verification approach (JVCI 2018)
    • [논문리뷰] A Survey on Video Summarization Techniques (IJCA 2015)
    DrawingProcess
    DrawingProcess
    과정을 그리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