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rends/News

[전자신문] 베터리 ( 에코프로비엠 )

DrawingProcess 2020. 2. 7. 23:08
반응형

# keypoint

  • 양극재는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중 하나로, 배터리 용량 및 출력과 밀접(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원료가 양극재에 사용되는데, 에코프로비엠은 니켈 비중이 높은 하이니켈계(주행거리가 긴 소재) 양극재 분야)

  •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양극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에코프로비엠에 투자. 

  • 에코프로비엠은 니켈 비중을 80% 수준으로 높인 고성능 양극재를 SK이노베이션에 공급할 예정.

# 느낀점 : 불과 1년전만해도 AA, AAA만 구분할 줄 알면 베터리에 대해 많이 아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기계 쪽을 공부하면서, 이 역시 너무 멍청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관심을 갖게된 것 역시 로봇이었다. 베터리의 모양과 성능은 로봇의 디자인과 무게를 좌우한다는 것을 안 뒤 관심을 가졌는데,, flexible 기기에 도래함에 이 분야도 굉장히 유망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 : https://www.etnews.com/20200206000152?mc=em_010_0001

 

삼성SDI, 에코프로비엠에 투자…'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확보, JV 등 추진

삼성SDI가 에코프로비엠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 급증에 따른 안정적 소재 확보를 위해 삼성SDI가 에코프로비엠에 투자를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합작사 설립과 증설 투자 참여 등이...

www.etnews.com

출처 : 전자신문(https://www.etnews.com/)

+ https://news.unist.ac.kr/kor/20160628-01/ (잉크로 뽑는 베터리)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하면 ‘플렉서블 배터리’ 완성!

잉크젯 프린터로 배터리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 자체가 전원이 되는 최초의 사례다. 이 기술의 등장으로 딱딱한 형태에서 벗어난 유연하고 다양한 배터리 디자인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등장할 입는 전자기기는 물론 각종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s) 기기에도 크게 활용될 전망이다. 이상영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news.unist.ac.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