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Process/GCP (GlobalCitizenProject)

[GCP Project] 친환경에너지 - 파력

DrawingProcess 2020. 6. 11. 04:00
반응형


Q : 파력이란?


A :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해 동력을 얻어 전력을 생산함


Q : 파력발전의 장단점?


장점:

  • 24시간 끊임없이 발전이 가능.
  • 발전효율이 높음.

단점:

  • 입지 조건이 굉장히 까다로움. 조수간만의 차가 클 경우 발전에 공백이 생겨 발전 불가능.
  •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육지에서부터 30km이내의 거리에서, 수심이 300m이하인 곳에서만 사용 가능.
  • 염분 때문에 발전소가 쉽게 부식돼 수명이 짧은 편.
  • 전체 에너지 비율 중 1%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Q : 파력발전의 종류?


  • 가동물체형: 수면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구로 파랑에너지를 직접 전달하여 기구의 움직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
  • 진동수주형: 파도의 상하운동을 이용. 파도가 육지와 닿는 부분에 워터칼럼을 설치하면 내부의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데 이 공기의 흐름을 이용함.
  • 월파형: 파도의 진행방향과 닿는 부분에 사면을 두어, 운동에너지로 인해 파도가 사면을 넘어서게 될 때 이를 위치에너지로 변환시킴

Q : 파력을 활용하는 회사?


A : 제주 파력발전소 - 국내 최초의 파력발전소.

  • 2년 전에 발전소가 침수되고 파손되어 난항을 겪고 있음.
  • -> 전망 : 아직 시험단계이고 2025년까지 대규모 상업발전단지로 확대될 예정. 아직 기술 발달이 필요해 우리나라에 완벽히 정착되진 않음. 시간이 좀 걸릴 것으로 보임.

# 참고문헌


파력발전종류 (https://blog.naver.com/i_love_khnp/221605899962)

제주파력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213250)


반응형